NCS(국가직무능력표준)가 무엇인지, 도입된 배경이 무엇인지
NCS(국가직무능력표준)는 어떻게 구성 분류되어 있는지 알아봅시다~~
첫번째~~~ NCS(국가직무능력표준) 분류!
NCS(국가직무능력표준)는 한국고용직업분류(KECO)를 중심으로, 여러 가지를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
'대분류 → 중분류 → 소분류 → 세분류' 순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.
여기서 !!
NCS 세분류에는 여러가지 능력단위로 이루어져 있는데요.
예시를 기준으로,
응용SW엔지니어링에 대해 단순히 '할 수 있다' 혹은 '알고있다'는
모호함에서 벗어나
1.요구사항 확인, 2.애플리케이션 구현, 3.데이터입출력 구현 4.통합구현, 5. 개발자 테스트 등등의
능력단위로 나눠서 '나는 어떤 것을 할 수 있다' 내지는 '나는 어떤 것을 알고 있다'로
구체화 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이 능력단위는 산업현장 직무의 수준 바탕으로
수준체계를 이룹니다.
산업 현장 직무능력수준을 다음과 같이 분석을 한 뒤
이를 바탕으로
이렇게 수준 별로 NCS 능력단위를 나누어 경력에 따라 갖추어야 할 능력을 8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놓았습니다.
이것을 참고해
‘산업현장-교육훈련-자격’ 연계, 평생학습능력 성취 단계 제시, 자격의 수준체계 구성에 활용하게 됩니다.
여러분들도 관심이 있거나 본인이 전공하는 분야가 있으시다면
수준체계를 참고해 부족한 능력, 갖추어야할 능력을
NCS로 체크해 보거나
취업에서 원하는 능력단위를 제시하는 경우,
을 참고해 자세히 알아 보세요 ~~ ^^*